무예도보통지

무예도보통지 - 월도 1

허구인물 전우치 2023. 2. 26. 21:11

 



柄長六尺四寸, 刃長二尺八寸. 共重三斤十四兩. 歧刃注毦[音二羽毛飾也. 魏略曰劉備性好毦手自結髦牛尾. 毦今俗稱象毛] 黃銅飾柄朱漆鐵鐏. 禮記圖式曰 王充論衡當與刀劍 偃月鈎爲比本朝錄營偃月刀. 通七尺刃長二尺四寸五分. 上豊而仰背爲歧銜以龍口. 高一寸五分, 銎爲鐵盤厚二分, 柄長四尺二寸八分, 圍五寸二分. 木質髤朱末鐵鐏長四寸.
자루 길이는 6척 4촌이고, 날 길이는 2척 8촌이다. 합한 무게가 3근 14량이다. 갈라진 날에 삭모(毦)[음은 이(二)이고, 깃털과 털로 꾸몄다. 위략에 이르기를 "유비는 마음에 삭모를 좋아해서 손수 소꼬리의 긴 털을 묶었다"라고 하였다. 삭모를 속칭 코끼리 털이라고 한다]를 붙힌다. 붉게 옻칠하여 창고달을 박은 자루에 황동 장식을 한다. 예기도식에 이르기를 "왕충의 논형에 나오는 도검을 더불어 비교하면 언월구를 본조 녹영의 언월도에 견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전체가 7척이고, 날의 길이는 2척 4촌 5분이다. 위가 두꺼우므로 의지하여 등이 갈라지며, 용이 입에 물고 있다. 높이는 1촌 5분이고, 구멍을 철반에 내는데, 두께가 2푼이다. 자루 길이는 4척 2촌 8분이고, 둘레는 5촌 2분이다. 나무 재질에 붉게 옻칠을 하고서 끝에 쇠 창고달을 다는데, 길이가 4촌이다.

[주]

3근 14량: 2.325kg이다. 1근은 16량이고, 1근은 600g이다. 참고로 탄약 30발을 장착한 K2 소총의 무게는 3.72kg이다.


예기도식: 1759년 청국이 발간한 황조예기도식(皇朝禮記圖式)이다. 녹영군은 명국 위소군이 만주족 팔기군에 항복하여 이어 온 한족 부대이다. 청국은 만주 8기군의 수가 적자, 한족 50만명을 녹영군으로 선발해서 확대 편성하여 도시의 군사업무와 치안 업무를 맡겼다. 



武備志所繪偃月刀禮記圖式所繪相同而惟武備志所繪者注重毦禮記圖式所繪者闕毦. 我國月刀薄如秋葉, 形式粗劣, 中國之制稜厲威猛可落敵膽. 不必重其斤兩使中人不敢擡 而倣中國之制可也. 
무비지 그림 언월도와 예기도식 그림이 서로 같으나, 오직 무비지 그림 것에는 삭모가 중후하게 붙어 있고, 예기도식 그림의 것에는 삭모가 빠져 있다. 내 나라 월도는 가을 낙엽처럼 얇고, 모양이 거칠어 뒤떨어지지만, 중국의 제도는 날카롭게 갈아서 위세가 맹렬하니 가히 적의 간담을 떨어뜨린다. 그 무게를 무겁게 해서 보통 사람으로 하여금 감히 들지 못하게 할 필요가 없다고 하더라도 중국의 제도를 본 받는 것이 옳다.

兵仗記曰 大刀曰鈹刃 端可以决披也. 斬馬刀一名砍刀[音坎斫也]. 長七尺 刃長三尺 柄長四尺下用鐵鑽 馬步水陸咸可用也. 有形如睂尖者曰睂尖刀, 如鳳嘴者曰鳳嘴刀, 如偃月刀頭屆者曰屆刀, 面方者曰方刀, 更有 鉤刀 手刀 鋸刀 掉刀 太平刀 定虜刀 朝天刀 開天刀 開陳刀 劃陳刀 偏刀 單刀 各因其人所使家數擊之也[案. 兵仗記所載諸刀蓋多月刀之類故並錄]. 茅元儀曰偃月刀以之操習示雄實不可施於陳. 
병장기에 이르기를 "큰 칼을 날 있는 창이라고 부르는데, 끝으로 가히 베어서 해칠 수 있다. 참마도를 일명 감(砍)도[음은 감(坎)이라고 하고, 베다(斫)이다.]라고 한다. 길이가 7척으로서, 날의 길이는 3척이고, 자루의 길이는 4척이며, 아래에 쇠송곳을 사용하는데, 마병, 보병, 수군과 육군 모두 쓸 수 있다"라고 하였다. 또 형상이 눈썹 끝 같은 것을 미첨도라고 하고, 봉의 부리 같은 것을 봉취도라고 하고, 언월도의 머리처럼 된 것을 계도라고 하고, 모양이 네모난 것을 방도라고 한다. 다시 유구도, 수도, 거도, 도도, 태평도, 정로도, 조천도, 개천도, 개진도, 확진도, 편도, 단도 등이 있어 각기 그 것은 사람으로 인한 바 사용하는 집에서는 수 차례 두드린다[안. 병장기에 실은 기록에 칼은 대략 월도의 종류이므로 나란히 적는다]. 모원의가 말하기를 "언월도는 조습하여 웅장함을 보이는 것이지, 실제 군진에서 실시하기에는 불가하다"라고 하였다.

[주]
전투도에 언월도가 다수 등장하지만, 실제 전투에서는 장시간 사용하기는 너무 무거워 사용하지 않았다. 조선에서는 참수형을 집행하는 행형도자로 사용하였다.

 

 

 

'무예도보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예도보통지 - 월도 3  (0) 2023.02.26
무예도보통지 - 월도 2  (0) 2023.02.26
무예도보통지 - 마상편곤 2  (0) 2023.02.26
무예도보통지 - 마상편곤 1  (0) 2023.02.26
무예도보통지 - 편곤 2, 3  (0) 2023.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