銳刀譜
擧鼎勢者卽擧鼎格也. 法能鼎格上殺. 左脚牛手平擡勢向前掣整中殺. 退步裙欄. 看法.
거정세(솥을 들다)
거정세라는 것은 곧 솥을 드는 격이다. 법은 능히 솥을 드는 격으로 위를 벤다. 왼다리와 오른손으로 평대세(평평하게 드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빼서 온전히 가운데를 벤다. 걸음을 물러서며 군란(치마를 두른다)을 한다. 법을 보라.
點劍勢者卽點劍刺也. 法能偏閃秦進搶殺. 右脚左手撥艸尋蛇勢向前擊步御車格. 看法.
점검세(점을 찍다)
점검세라는 것은 곧 점을 찍듯 검으로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한쪽으로 번득이며 나아가니, 빠르게 벤다. 오른쪽 다리와 왼손으로 발초심사세(풀을 없애 뱀을 찾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공격하는 걸음으로 어거격(수레를 몰다)을 한다. 법을 보라.
左翼勢者卽左翼擊也. 法能上挑下壓直殺虎口. 右脚右手直符送書勢向前擊步, 逆鱗刺. 看法.
좌익세(왼쪽 날개를 치다)
좌익세라는 것은 곧 왼쪽날개를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위로 돋우고, 아래로 눌러 손아귀를 바로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직부송서세(직부사자가 명부를 보내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치는 걸음으로 역린자(용의 역린을 찌르다)를 한다. 법을 보라.
豹頭勢者卽豹頭擊也. 法能霹擊上殺. 左脚左手泰山壓頂勢向前擊步挑刺. 看法.
표두세(표범 머리를 치다)
표두세라는 것은 곧 표범 머리를 공격하는 것이다. 법은 능히 벼락같이 치니, 위를 벤다. 왼쪽 다리와 왼손으로 태산압정세(태산이 정수리를 누르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공격하는 걸음으로 도자(후벼 파며 찌르다)를 한다. 법을 보라.
坦腹勢者卽坦腹刺也法能衝刺中殺進如崩山. 右脚右手蒼龍出水勢向前進步腰擊. 看法.
탄복세(배를 드러내게 하다)
탄복세라는 것은 곧 배를 드러내게 만들어서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찌르고 찌르니, 붕산처럼 나가서 가운데를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창룡출수세(창룡이 물 밖으로 나가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나가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跨右勢者卽跨右擊也. 法能撩剪下殺. 左脚右手綽衣勢向前進步橫擊. 看法.
과우세(오른쪽에 걸치다)
과우세라는 것은 곧 오른쪽에 걸쳤다가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위로 쳐올려 자르니, 아래를 벤다. 왼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작의세(작의를 입은 자세)로 앞으로 나가는 걸음으로 횡격(가로로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주]
綽衣: 깃과 소매가 없거나, 얇아 활동하기 편하게 한 옷으로서 전복(전투복)의 일종이다.
撩掠勢者卽撩掠格也. 法能遮駕 下殺蔽左護. 右左脚左手 長蛟分水勢向前掣步鑽擊. 看法.
요약세(노략하다)
요약세라는 것은 곧 어지러이 노략(베다.자르다.)하는 격이다. 법은 능히 막고 모니, 아래를 베어 왼쪽을 가리며 호위한다. 좌우 다리와 오른손으로 장교분수세(긴 교룡이 물을 가르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끄는 걸음으로 찬격(파고 들어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御車勢者卽御車格也. 法能駕御中殺削殺雙手. 左脚右手衝鋒勢向前退步鳳頭洗. 看法.
어거세(수레를 몰다)
어거세라는 것은 수레를 모는 격이다. 법은 능히 가어(말을 마음대로 부림)하고, 가운데를 베니, 양손을 베어 빼았는다. 왼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충봉세(찌르는 칼끝 자세)로 앞을 향한채 물러서는 걸음으로 봉황의 머리로 씻는다. 법을 보라.
展旗勢者卽展旗擊也. 法能剪磨上殺. 左脚左手托塔勢向前掣步點劍. 看法.
전기세(깃발을 펼치다)
전기세라는 것은 곧 깃발을 펴는 격이다. 법은 능히 전마(자르고 으깸)를 하니, 위를 벤다. 외쪽 다리와 왼쪽 손으로 탁탑세(탑을 미는 자세)로 앞을 향하는 끄는 걸음으로 점검(검을 세우고 손목을 유연하게 하여 위에서 아래로 쪼개어 검끝에 힘이 도달하게 한다)을 한다. 법을 보라.
看守勢者卽看守擊也. 法能看守諸器攻刺守定, 諸器難進相機隨勢滾殺. 左脚右手虎蹲勢向前進步腰擊. 看法.
간수세(살펴서 지키다)
간수세라는 것은 곧 간수격이다. 법은 능히 무릇 무기의 치고 찌르기를 살펴서 지켜 수비를 바르게 하고, 무릇 무기로 나가기 어려워도 기회를 살펴서 형세를 따라 굴려서 벤다. 왼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호준세(범이 웅크린 자세)로 앞을 향하여 나아가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침)을 한다. 법을 보라.
銀蟒勢者卽銀蟒格也. 法能四顯周身又能掠殺. 四面向前. 則左手左脚向後則右手右脚動則左右旋風擊電殺. 看法.
은망세(은이무기 회오리)
은망세라는 것은 곧 은망격이다. 법은 능히 널리 몸을 사방으로 드러내고, 또 능히 노략하여 벤다. 사면이 앞을 향하게 한즉 왼손과 왼쪽 다리를 뒤로 향하고, 곧 오른손과 오른쪽 다리를 움직인즉 좌우 회오리 바람으로 쳐서 전살(번개처럼 베다)을 한다. 법을 보라.
鑽擊勢者卽鑽擊也. 法能鑽格搶殺. 鵝形鴨步𢍃衝. 左脚左手白猿出洞勢向前掣步腰擊. 看法
찬격세(파고 들어 치다)
찬격세라는 것은 곧 파고 들어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파고 들어 치니, 부딪혀 벤다. 거위 모양과 오리 걸음을 하다가 재빠르게 찌른다. 왼쪽 다리와 왼손은 백원출동세(흰 원숭이가 동굴에서 나가는 자세)로 앞을 향해 끄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腰擊勢者卽腰擊也. 法能橫衝中殺. 身步手劍疾若迅電, 此一擊者劍中之𩠐擊也. 右脚右手斬蛇勢向前進步逆鱗. 看法
요격세(허리를 치다)
요격세라는 것은 곧 허리를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가로로 찌르니, 가운데를 벤다. 몸과 걸음, 손과 검의 빠르기가 만약 번개처럼 빠르면, 이 일격이라는 것은 검 가운데 머리가 되는 공격이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참사세(뱀을 베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나가는 걸음으로 역린(역린을 찌르다)을 한다. 법을 보라.
展翅勢者卽展翅擊也. 法能絞格上殺, 撩掠下殺. 右脚右手偏閃勢向前掣步擧鼎格. 看法.
전시세(날개를 굴리다)
전시세라는 것은 곧 날개를 펴는 격이다. 법은 능히 꼬아서 치니, 위로 쳐올리며 훑으니, 아래를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편섬세(기울인 자세)로 앞을 향하여 끄는 걸음으로 거정격(솥을 들어 올린다)을 한다. 법을 보라.
右翼勢者卽右翼擊也. 法能剪殺兩翼. 左脚右手鴈字勢向前掣步腰擊. 看法.
우익세(오른쪽 날개를 치다)
우익세라는 것은 곧 우익격이다. 법은 능히 양쪽 날개를 자르고 벤다. 왼쪽다리와 오른손으로 안자세(鴈자 모양을 하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끄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揭擊勢者卽揭擊也. 法能剪格上殺. 步步套進. 左脚左手虎坐勢向前退步衝洗.看法.
게격서(들어서 치다)
게격세라는 것은 곧 들어서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자르고 치니, 위를 벤다. 걸음 걸음을 덮어 나간다. 왼쪽 다리와 왼손으로 호좌세(범이 앉은 자세)로 앞을 향한채 물러서는 걸음으로 충세(찌르고 나서 씻다)를 한다. 법을 보라.
左夾勢者卽左夾刺也. 法能衝刺中殺. 右脚右手獸頭勢向前進步腰擊. 看法.
좌협세(왼쪽으로 끼우다)
좌협세라는 것은 곧 왼쪽으로 끼어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부딪혀 찌르니, 가운데를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수두세로 앞을 향하야 나가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跨左勢者卽跨左擊也. 法能掃掠下殺. 右脚右手提水勢向前進步雙剪. 看法.
과좌세(왼쪽에 걸치다)
과좌세라는 것은 곧 왼쪽에 걸쳐서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쓸고 노략하여 자르니, 아래를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제수세(물을 베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나가는 걸음으로 쌍전(두 번 베다)을 한다. 법을 보라.
掀擊勢者卽掀擊也. 法能掀挑上殺. 搶步鑽殺. 左脚右手朝天勢向前退步坦腹刺. 看法.
흔격세(들어 치다)
흔격세라는 것은 치켜들어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들어 돋우어, 위를 벤다. 빠른 걸음으로 파고 들어 벤다. 왼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조천세(아침 하늘을 보는 자세)로 앞을 향한채 물러나는 걸음으로 탄복자((배를 드러내게 만들어서) 드러난 배를 찌르다)를 한다. 법을 보라.
逆鱗勢者卽逆鱗刺也法能直刺喉頸. 右脚右手探海勢向前掣步左翼擊. 看法.
역린세(역린을 찌르다)
역린세라는 것은 곧 비늘을 거슬러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곧바로 목구멍과 목을 찌른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탐해세(바다를 뒤지는 자세)로 앞을 향해 끄는 걸음으로 좌익격(왼쪽 날개로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斂翅勢者卽斂翅擊也. 法能佯北, 誘臁. 左右手脚拔蛇倒退進步腰擊. 看法
염시세(날개를 거두다)
염시세라는 것은 날개를 거두고 치는 것이다. 법은 능히 거짓으로 달아나니, 유혹하여 정강이를 벤다. 양손과 발로 발사세(뱀꼬리를 뒤로 잡아 당기는 자세)로 물러나고 나가는 걸음으로 요격(허리를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右夾勢者卽右夾刺也. 法能絞刺中殺. 左脚右手奔衝勢向前立步擧鼎格. 看法.
우협세(오른쪽으로 끼우다)
우협세라는 것은 곧 오른쪽으로 끼어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꼬아서 찌르니, 가운데를 벤다. 왼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분충세(빠르게 찌르는 자세)로 앞을 향하여 서는 걸음으로 거정격(솥을 들어 막다)을 한다. 법을 보라.
鳳頭勢者卽鳳頭洗也. 法能洗刺剪殺. 右脚右手白蛇弄風勢向前掣步, 揭擊. 看法.
봉두세(봉의 머리로 씻다)
봉두세라는 것은 봉황의 머리로 씻는다이다. 법은 능히 씻어 찌르니, 자르고 벤다. 오른쪽 다리와 오른손으로 백사농풍세(흰 뱀이 바람을 희롱하는 자세)로 앞을 향해 끄는 걸음으로 게격(쳐들어 치다)을 한다. 법을 보라.
橫衝勢者卽橫衝擊也. 法能疾𢍃颡閃滚殺進退. 兩手兩脚隨勢衝進掣步撩掠. 看法.
횡충세(가로로 찌르다)
횡충세라는 것은 곧 가로로 찌르는 것이다. 법은 능히 신속하게 재빨리 달려 이마를 번뜩하고 흐르듯 베면서 나갔다가 물러선다. 양손과 양다리로 수세(형세를 따르는 자세)로 찌르며 나가는 끄는 걸음으로 위로 쳐올리며 노락(돋우어 노략하다)한다. 법을 보라.
[增]
太阿倒他勢者初入套中, 先以左手牢執刀腰, 次擧右手向千高托一呼. 又以右手輕打右膝, 以右足橫打左足 因入擧鼎勢.
태아도타세(태아검으로 타인을 넘어뜨리다)
태아도타세라는 것은 처음에 안으로 덮어서 들어 가고, 먼저 왼손으로 칼 허리를 굳게 잡고, 다음에 오른손을 하늘을 향해 높이 들고 의지하여 한 번 소리를 지른다. 다시 오른손으로 오른쪽 무릎을 가볍게 치고, 오른쪽 다리로 왼쪽 다리를 가로로 치고 나서 거정세로 들어 간다.
呂仙斬蛇勢者以左手支腰右手橫捉刀腰向空高擲丈餘刃背輪轉而墜. 稍進一步以手承如是者三.
여선참사세(신선 여동빈이 뱀을 베다)
여선참사세라는 것은 왼손을 허리에 괴고, 오른손을 칼허리를 가로로 잡고 한 길여 높이로 허공을 향해 던져서 날과 등이 바퀴로 돌며 떨어지게 한다. 약간 한 걸음 나가 손을 이어서 같게 이 것을 3번 한다.
羊角弔天勢者自套中小退跪坐以右手執刀柄橫駕刀背. 又左手第一指右手緊緊彈刀頭. 則繞指輪轉轉到次指至又無名小指閒而止望之若銀甕.
양각조천세(양뿔로 하늘에 조문하다)
양각조천세라는 것은 덮은 데서 가운데로 조금 물러나 무릎 꿇고 앉아 오른 손으로 칼손잡이를 잡고 칼등으로 가로로 멍에를 맨다. 또 왼손 첫째 손가락으로 오른손을 팽팽하게 칼머리를 튕긴다. 곧 손가락으로 감아 바퀴 모양으로 돌고 도는데 이르면, 또 무명 작은 손가락 사이에 그치는데, 바라보면 은항아리 같다.
金剛步雲勢者三次回身左右顧眄高擧刀刃繞頭上揮斥.
금강보운세(금강신장이 구름을 걷다)
금강보운세라는 것은 세 번 몸을 회전해 좌우를 돌아보고 곁눈질 하며 칼날을 높이 들어 머리 위로 두르고 휘둘러 물리친다.
'무예도보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예도보통지 - 본국검 1 (2) | 2023.01.21 |
---|---|
무예도보통지 - 예도 3 (0) | 2023.01.16 |
무예도보통지 - 예도 1 (1) | 2023.01.16 |
무예도보통지 - 권법 3 (0) | 2023.01.08 |
무예도보통지 - 권법 2 (1)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