雙劍譜
[원]
初作持劍對賊勢右劍負於右肩左劍舉於額上正立.
처음에 지검대적세(검을 쥐고 도적을 상대하는 자세)를 하는데, 오른쪽 검을 오른쪽 어깨에 짊어지고, 왼쪽 검을 이마 위로 들고서 바르게 선다.
旋作見賊出劍勢右手左脚跳一步.
돌아서 견적출검세(도적을 보고 검을 뽑는 자세)를 하는데, 오른손과 왼다리로 한 걸음 뛴다.
作飛進擊賊勢右手右脚一打.
비진격적세(앞으로 날아가 도적을 치는 자세)를 하는데, 오른손과 오른다리로 한 번 친다.
仍作初退防賊勢右劍挾左腋右三迴退,
그대로 초퇴방적세(처음의 자리로 물러나 도적을 막는 자세)를 하는데, 오른쪽 검을 왼쪽 겨드랑에 끼고서 오른쪽으로 세 번 돌며 물러난다.
旋作向右防賊勢仍作向左防賊勢右迴.
돌아서 향우방적세(오른쪽을 향하여 도적을 막는 자세)를 하고, 그대로 향좌방적세를 하고 나서 오른쪽으로 돈다.
作揮劍向賊勢, 左右洗前進 作向右防賊勢 又作向左防賊勢 右廻作進前殺賊勢左劍挾右腋以右手右脚前一擊.
휘검향적세(도적을 향해 검을 휘두르는 자세)를 하고, 좌우를 씻고서 전진하여 그대로 향우방적세 (오른쪽을 향하여 도적을 막는 자세) 를 하고, 또 향좌방적세 (왼쪽을 향하여 도적을 막는 자세) 를 하고서 오른쪽으로 돌아 진전살적세(전진하여 도적을 죽이는 자세)를 하는데, 왼쪽 검을 오른쪽 겨드랑이에 끼고서 오른손과 오른다리로 앞을 한 번 친다.
左一廻後顧旋作五花纏身勢入原地.
왼쪽으로 한 번 돌아 뒤를 돌아보고 돌아서 오화전신세(다섯 꽃으로 몸을 휘감는 자세) 를 하면서 원래의 땅으로 들어 간다.
作向後擊賊勢.
향후격적세(뒤를 향하여 도적을 치는 자세)를 한다.
回身向前作鷙鳥斂翼勢右劍挾左腋左劍挾右腋一呼右回.
몸을 돌려 앞을 향하여 지조염익세 (사나운 새가 날개를 움츠리는 자세) 를 하는데, 오른쪽 검을 왼쪽 겨드랑이에 끼고서 한 번 소리 지르고 나서 오른쪽으로 돈다
仍作藏劍收光勢左劍挾右腋右劍擧右足內掠. 步左右洗.
그대로 장검수광세(검을 감추어 빛을 거둬 들이는 자세)를 하는데, 왼쪽 검을 오른쪽 겨드랑이에 끼고서 오른쪽 검으로 오른다리를 든채 안으로 노략한다. 한 걸음 뛰어 좌우를 씻고 오른발을 들고 왼손으로 왼다리 앞을 한 번 찌른다.
仍作項莊起舞勢左劍右一洗. 作大門畢.
그대로 항장기무세(항장이 일어나 (칼로) 춤을 추는 자세)를 하는데, 왼쪽 검으로 오른쪽을 한 번 씻는다. 대문을 하고서 마친다.
'무예도보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예도보통지 - 마상쌍검 1 (0) | 2023.07.16 |
---|---|
무예도보통지 - 쌍검 3 (0) | 2023.07.16 |
무예도보통지 - 쌍검 1 (0) | 2023.07.16 |
무예도보통지 - 쌍수도 3 (0) | 2023.07.16 |
무예도보통지 - 쌍수도 2 (0) | 2023.07.16 |